[Web] PUT vs PATCH
2022. 12. 5. 15:32
Computer Science/Web programming
PUT 리소스를 대체 리소스가 있으면 대체 리소스가 없으면 생성 쉽게 얘기해서 기존 리소스를 완전히 덮어버림 클라이언트가 리소스를 식별 클라이언트가 리소스 위치를 알고 URI 지정 (어디에다가 어떤 데이터를 집어넣을거라고 지정해줌) POST와 차이점 ex) 리소스가 있으면 해당 자리에 데이터가 덮어짐. 리소스가 없으면 해당 자리에 데이터를 넣음 ⚠️ 주의! 리소스를 완전히 대체한다. ex) 회원 테이블에 name, age, address 가 있다. 100원 회원의 age만 바꾸고 싶어 100번에 바꾸고 싶은 age만을 PUT → age 말고 name, address 가 NULL로 바뀜 PUT은 사실 리소스를 수정하는게 아니다! PATCH 리소스의 부분 변경 만약, PATCH가 되지 않을 경우 POST를 ..
[Web] REST vs RESTful vs REST API(RESTful API)
2021. 12. 31. 00:49
Computer Science/Web programming
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네트워크 상에서 client와 server 사이의 통신 방식 중 하나이다. URI와 HTTP를 이용한 통신 목적의 아키텍처 스타일 아키텍처? (제약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시스템) 아키텍처 스타일이므로 아키텍처 제작 시 사용되는 가이드의 의미로 사용되며 명확히 준수해야 하는 표준은 없다! 여기서 REST는 URI와 HTTP를 이용한 통신 목적의 아키텍처 스타일이라고 했는데, 평소에 URI과 URL의 차이를 헷갈리고 있었기 때문에 한번 짚고 넘어가려고 한다! 💡 URI와 URL의 차이점? URI : 특정 리소스를 식별하는 통합 자원 식별자를 의미. 웹 기술에서 사용하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 리소스를 식별하는 고유한 문자열 시퀀스 URL : 흔히 ..
[Web] DTO와 VO의 차이
2021. 12. 17. 14:59
Computer Science/Web programming
스프링을 공부하면서 VO가 있다는 것은 알았지만, DTO만 사용했기 때문에 DTO와 VO의 차이가 무엇인지에 대해 궁금했다. 생각이 난 김에 DTO와 VO의 차이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려고 한다. DTO와 VO를 혼용해서 쓰는 경우가 많다. → 왜? core J2EE Patterns이라는 책에서 데이터 전달용 객체를 VO로 정의하다가 TO (현재는 데이터를 의미하는 D를 붙여 DTO로 사용)로 바꾸었기 때문 DTO (Data Transfer Object) 데이터 전달용 계층 간 데이터 교환을 위해 사용하는 객체. DTO에 데이터를 담아 전달한다. 데이터를 담은 private변수들과 이 변수들을 조작할 수 있는 getter&setter 메서드로 구성되어 있다. -> 다른 로직들은 담고 있지 않다! 왜? 순수..
[Web] Spring의 AOP, Interceptor, Filter
2021. 12. 14. 18:06
Computer Science/Web programming
1. AOP (Aspect Oriented Programming)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 Spring에서 각각의 로직들은 비지니스 로직과 부가기능으로 구성된다. 어떤 로직을 기준으로 1) 핵심적인 관점 2) 부가적인 관점으로 관점을 나누어 각각을 모듈화 하겠다는 것! 핵심적인 관점 == 핵심 비지니스 로직 부가적인 관점 == 핵심 로직을 실행하기 위한 부가적인 기능들 (데이터베이스 연결, 로깅, 트랜잭션 처리, 데이터 보호를 위한 암호화, 일괄적인 예외 처리 등) 각각의 로직들에서 계속 반복되어 쓰여지는 코드들 == 흩어진 관심사 (= 횡단 관심사 / 주로 부가기능) 이러한 반복된 코드들을 모듈로 만들어 놓으면 개발 속도가 빨라지고, 유지보수성도 향상됨 이와 같이 흩어진 관심사들을 Aspect로 모듈화 하..